자동차세 연납신청 꿀팁

오늘은 자동차 있으신 분들이라면 무조건 최소 3만원은 기본적으로 받을 수 있는 팁을 소개해 드릴려고 합니다. 혹시나, 부모님이나 자녀분들 중에 본인 소유의 자동차가 있으신 분들에게 공유해주시길 바랍니다. 이제는 자동차세 연납신청 꿀팁에 대해 보다 저렴하게 세금을 내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꼭 끝까지 읽어주세요.


자동차세 연납신청 꿀팁

올해 자동차세 연납신청이 1월 16일부터 시작이 됩니다.

먼저 전화로 신청하신 분들도 계시고 카카오톡 알림을 통해 연납신청하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이렇게 먼저 납부하신 분들 중에 오히려 손해를 보신 분들이 의외로 굉장히 많습니다.

그 동안 해마다 1월에 자동차세 연납신청을 하면 10%나 할인을 해주기 때문에 최소 몇 만원을 절약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1년부터 할인율이 9.15%로 줄기 시작해서 작년에는 6.4%로 줄어들었고, 올해에는 4.57%, 내년에는 2.74%까지 줄어듭니다.

구 분할인률연납할인율
202210%9.15%
20237%6.4%
20245%4.57%
20253%2.74%
자동차세 연납할인율 변동

▣ 자동차세 연납(선납)이란?

연간 납부할 자동차세를 1월중 한꺼번에 납부하면 납기후 연 세액의 10%를 공제(2~12월 세액의 10%)한 세액으로 납부하는 것.

원래, 매월 6월, 12월에 납부하는 자동차세를 1월, 3월, 6월, 9월에 한꺼번에 납부하면 잔여기간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자동차세를 할인해주는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더 세부적으로 말씀드리면, 2024년 납부일 기준 공제세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월 : 연세액 x 335/366 x 5% → 연세액의 약 4.6% (공제기간 2월 ~ 12월)
  • 3월 : 연세액 x 275/366 x 5% → 연세액의 약 3.8% (공제기간 4월 ~ 12월)
  • 6월 : 연세액 x 184/366 x 5% → 연세액의 약 2.5% (공제기간 7월 ~ 12월)
  • 9월 : 연세액 x 92/366 x 5% → 연세액의 약 1.3% (공제기간 10월 ~ 12월)

1월, 3월, 6월 중 선택해서 신청할 수 있지만, 보시다시피 1월에 할인이 가장 많이 해주고 갈수록 할인율이 낮아집니다.

이렇게 정부에서 제공하는 세금 할인 혜택은 줄어들고 있지만, 소액이지만 확실하게 돈 벌 수 있는 꿀팁을 소개 해 드리는 겁니다.

자동차 운전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확인하시고 적은 금액이더라도 혜택을 잘 챙기시길 바랍니다.


자동차세 연납신청 함정과 꿀팁(혜택)

요즘 은행금리가 높아서 연납으로 할인받는 이점이 과거에 비해서 줄어든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도, 연납신청을 통해 조금이라도 할인 받고, 그 외에 추가적인 혜택도 받으시면 좋겠습니다. 자~ 그럼 세부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원래, 공식적으로 자동차세연납은 1월 5일부터 시작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가장 편리하게 많이 이용하는 방법인 위택스에서 1월 16일부터 신청이 시작됩니다.

요즘은 스마트폰이나 PC로 간편하게 연납신청하실 분들은 위택스앱 또는 위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시중금리는 올랐는데, 할인율은 오히려 낮아져서 조금은 아쉬운 상황입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시중 예금금리 중에 4.57%가 넘는 은행이 없기 때문에 연납이 조금은 더 이익은 사실입니다.

자동차세를 납부할때 지로납부나 가상계좌로 이체하시는 분들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분들이 조금 손해를 보는 겁니다.

왜일까요?

국세는 카드로 납부하면 수수료가 붙지만, 지방세인 자동차세는 체크카드나 신용카드로 납부해도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각 카드사별로 지방세 납부를 자기 회사 카드로 납부하기를 유도하기 위해 여러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 포인트 적립
  • 현금캐시백
  • 환급할인
  • 상품권 증정

을 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각 은행과 카드사,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자동차세 납부가 가능한 결제 수단들의 혜택을 정리해 봤습니다.


자동차세 연납신청 결제 수단별 혜택

본인이 소유하고 있는 카드나 평소에 사용하고 있는 결제수단이 하나 이상은 무조건 있잖아요. 계좌이체나 지로로 납부하지 마시고, 꼭 비교한 다음에 체크카드나 신용카드, 기타 결제수단으로 납부하시면 조금이라도 더 절약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와 카카오페이에서는 지방세를 결제하면 최대 1만원의 혜택을 증정하고 있습니다.

단, 납부하기 전에 ‘응모하기’ 버튼을 클릭해서 이벤트에 응모를 하고 대상카드로 10만원 이상 결제를 하셔야 참여가 완료됩니다.

그러면, 이마트 상품권 5천원은 확정되어 받을 수 있고, 이벤트를 친구나 지인에게 공유하면 추첨을 통해 5천원 상품권을 더 받습니다.

▣ 네이버페이

네이버페이로 자동차세를 10만원 이상 납부하면 1만명을 추첨해서 네이버페이 포인트 5천원을 지급합니다.

▣ KB국민카드

KB국민카드에서는 직장인 보너스 체크카드가 있습니다.

자동차세 연납 뿐만 아니라 국세나 지방세를 10만원 이상 납부하면 7천원을 환급 해 줍니다.

물론, 전원 이용 실적이 30만원 이상이라는 조건이 있긴 있습니다. 하지만, 최초 카드 사용등록일을 포함해서 60일까지는 이용실적이 없어도 5천원까지 할인이 가능합니다.

체크카드는 연회비가 없으니깐 그냥 발급해도 최소 5천원 정도는 벌 수 있습니다.

그리고, 1월 한달동안 국민카드에서 체크카드를 신규발급하면 2만원만 사용해도 2만원을 캐시백해주고, 5천원만 사용해도 CU편의점 쿠폰 5천원을 제공합니다. 그럼, 자동차세 납부용도로만 발급 받아도 3만원을 할인 받습니다.

  • 캐시백 2만원
  • CU쿠폰 5천원
  • 환급 5천원 (최소)

▣ 신한카드

신한 체크카드는 지방세를 납부하면 0.1%를 현금으로 캐시백 해줍니다.

▣ 현대카드

부분무이자 할부 또는 M포인트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그 외의 BC, 농협, 하나, 우리, 수협, 전북은행은 부분무이자 또는 무이자 할부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다소 귀찮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왕 내는 세금 조금이라도 덜 내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좋은 정보였다면 많이 홍보 부탁 드립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