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윤석열 대통령 연봉이 2.5% 인상된 2억 5493만원으로 책정 되었다고 합니다. 전체 공무원 보수도 올해 최저임금 인상률과 같은 전년 대비 2.5%인상 된다고 합니다. 인사혁신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공무원 보수규정’과 ‘공무원 수당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이 1월 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의 연봉, 2억 5493만원 2.5%인상
올해 대통령을 포함한 정무직 연봉은 2024년 연봉표가 적용되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올해 2억 5493만 3000원으로 전년 (2억 4872만원)보다 2.5% 인상되었다.
다만, 지난해 윤 대통령이 연봉을 전년(2억 4455만원)과 동일한 수준으로 동결해서 받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4.2%가 인상된 연봉을 수령할 것으로 보인다.
인사처 관계자는 “올해는 동결없이 모두 연봉표 상으로 그대로 지급받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 외 정부인사들의 연봉들은?
한덕수 국무총리는 1억 9763만 6000원을 연봉으로 받는다고 합니다.
부총리와 감사원장 연봉은 1억 4952만 4000원을 받으며, 장관 및 장관급 공무원은 1억 4533만 2000원이라고 합니다.
5급(상당)이하 공무원의 보수는 전년 대비 2.5% 오른다고 합니다.
올해 최저임금 인상률과 같은 수준이다. 7~9급(상당) 일부 저연차 공무원의 봉급은 추가로 올린다고 합니다.
9급 초임(1호봉) 봉급액의 경우 공통인상분 2.5%에 추가로 약 3.5%를 더 올려 6% 가량 인상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2024년 9급 초임(1호봉)보수는 연 3010만원 (월 평균 251만원)수준이다. 이는 작년(2831만원)대비 6.3% 인상된 수준이라고 합니다.
9급 초임 3000만원 돌파 및 추가 지급대상 확대
공무원 보수는 지난해 대비 2.5%를 인상. 또 상대적으로 처우 수준이 열악한 청년세대 저연차 공무원에 대한 처우는 추가로 개선했다.
저연차 공무원의 장기 재직을 장려하기 위해 5년 이상 재직 공무원에게만 지급하던 정근수당 가산금 지급대상을 확대하여 5년 미만 저연차 공무원에게도 월 3만원의 수당을 지급한다.
또 재난.안전 분야, 군인, 교사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 근무하는 현장 공무원에 대한 처우 수준도 개선한다.
재난 예방대비 등 재난.안전 업무를 상시 수행하는 공무원에 대한 특수업무수당을 신설해 월 8만원을 지급한다.
재난 발생 시 재난 현장 등에서 대응 복구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에 지급되는 수당의 월 지급액 상한도 월 8만원에서 12만원으로 인상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부처의 연봉책정 자율성을 확대하고, 중요직무에 대한 보상을 강화한다.
- 우주.항공 전문가
- 국제통상. 국제법 전문 변호사
- 정보통신기술(IT)전문가
- 의사 등
공직에 우수 민간인재 유치가 필요한 일부 직위에 대해 민간 수준의 파격적 연봉도 지급할 수 있도록 각 부처의 연봉 자율책정 상한을 폐지한다.
업무의 중요도, 난이도 등을 고려해 핵심 직무 종사자에게 지급하는 중요직무급의 지급범위를 기관정원의 18%에서 21%까지 확대해 직무 가치에 따른 보상을 보다 강화한다.
공무원의 추가 처우개선 내용
이 밖에, 저출산 위기에 대응해 육아휴직 활용 여건을 개선한다.
부부가 모두 자녀 돌봄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육아휴직수당 지급액과 지급기간을 대폭 확대한다.
같은 자녀에 대해 부모가 모두 육아휴직을 하는 경우 두 번째 육아휴직자에게 월 봉급의 100%내에서 3개월간 최대 월 250만원의 육아휴직을 지급했으나, 앞으로는 6개월간 최대 월 450만원까지 수당을 지급하게 된다.
육아휴직 기간 중 실질적 소득 지원이 가능하도록 육아휴직수당 지급방식도 개선한다.
휴직 중에는 매월 육아휴직수당의 85%만 지급하고, 나머지 금액은 복직해 6개월 이상 계속 근무시 일시에 지급하고 있는데, 올해부터는 둘째 이후 자녀에 대한 육아휴직자의 경우 휴직 중 공제 없이 육아휴직수당 전액을 지급한다.
김승호 인사처장은 “앞으로도 청년세대 저연차 공무원과 민생 현장 공무원에 대한 처우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등 공무원들이 국민을 위해 열심히 일할 수 있도록 근무여건을 개선해 나가겠다”라고 합니다.
연봉 인상에 대한 개인적 소견
관공서에서 일하는 친구는 연봉이 동결되었다고 한다. 물가인상률까지도 무시했다고 합니다. 그래도 어쩔 수 없기에 받아들이고 계속 다니고 있습니다. 그리고, 언제든 떠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최저 임금 인상률 2.5%라고 했습니다. 2억의 2.5%라면 약 500만원이 나오는 군요. 반면, 3000만원의 연봉이라면 약 75만원, 월 6만원이 인상되는 셈입니다.
그것 마저 인상이 되지않는 실정이랍니다. 너무나 힘듭니다.
지금 세대들은 기성세대들과 달리 직장이 평생 직장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그냥 다니는 회사, 그리고 투잡, 쓰리잡 N잡까지 하고 있답니다. 어쩔 수 없는 것일까요?
한번 생각해봐야 됩니다. 격차를 줄일수있는 방법을 생각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