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에서 경산. 경산에서 구미로 잇는 광역철도 대경선이 12월 14일부터 운행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직 많이 보편화되지 않아 코레일에서 기차표를 예매하려고 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별도의 예매는 없습니다. 기차시간표를 보고 그냥 버스나 지하철을 이용하듯이 이용하면 되는 것으로, 배차간격을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광역철도 대경선 개통 기차시간표 확인해 보겠습니다.
광역철도 대경선 개통. 기차시간표

이번에 개통된 광역철도 대경선의 경우 총 8개역을 가지고 있으며, 배차간격이 짧은 시간은 10분. 가장 큰 배차간격은 1시간가량으로 배차의 편차가 크고 불규칙한 편이다.
그렇기 때문에 배차시간을 잘 활용하여야 한다. 물론, 출/퇴근시간은 당연히 짧은 것은 확실하다.
무엇보다도 기존 무궁화호가 운행했던 것이 32회로 운영이 되었지만, 이번 광역철도 개통으로 100회로 늘려 이동과 편의성. 그리고, 대구/경북은 1시간대 생활권이 확보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경선 운임비용. 환승으로 절약하는 방법
광역철도 대경선의 경우 기본운임은 1500원이다.
- 일반 : 1500원
- 청소년 : 850원
- 어린이 : 400원
여기서 10km초과 시 5km마다 100원씩 추가되고, 시도 경계 (ex. 경산 ↔ 대구 ↔ 구미) 통과시 200원의 초과요금이 나오는 것이다. 최대 경산 → 구미까지 2800원이라고 보면 됩니다. 무궁화호의 경우 4000원의 비용이 들어가니 1200원 절감이 됩니다.

여기서, 환승을 통한 확실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현재 : 버스 (1500원) + 광역철도(1500원) + 청도버스(1500원) : 4500원 비용이 소요된다.
변경 : 버스 (1500원) + 광역철도 (750원) + 청도버스 (0원) : 2250원으로 50%가 절감되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점도 있기는 하다.
- 기존 : 시내버스 및 도시철도 30분 내
- 변경 : 시내버스 60분, 도시철도(지하철). 광역철도 30분. 시간 내 이용해야한다.
- 그리고, 대구시내버스의 경우 30분으로 기존대로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니 특히 주의해야 한다.
이제 우리는 드디어 대구와 경북이 1시간 대 생활권으로 살아가게 된 것이다. 많은 이용을 해도 좋을 것 같다.